1.1 NestJS 소개 - NestJS로 배우는 백엔드 프로그래밍 (wikidocs.net)

 

1.1 NestJS 소개

NestJS는 Node.js에 기반을 둔 웹 API 프레임워크로써 Express 또는 Fastify 프레임워크를 래핑하여 동작합니다. 기본으로 설치하면 Express를 사용합니다…

wikidocs.net

소개 - 쉽게 풀어 쓴 Nest.js (wisewiredbooks.com)

 

소개 - 쉽게 풀어 쓴 Nest.js

이 문서는 Nest.js의 공식문서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전반적인 흐름은 공식 문서와 비슷하며 설명도 많은 부분이 공식 문서를 바탕으로 합니다. 다만 공식 문서 자체가 초보

www.wisewiredbooks.com

NestJS는 Node.js에 기반을 둔 웹 API 프레임워크로써 Express 또는 Fastify 프레임워크를 래핑하여 동작합니다. 기본으로 설치하면 Express를 사용합니다. Node.js는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뛰어난 확장성을 가지고 있지만, 과도한 유연함으로 인해 SW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알맞은 라이브러리를 찾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NestJS는 데이터베이스, ORM, 설정(Configuration), 유효성 검사 등 수많은 기능을 기본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쉽게 설치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Node.js 장점은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NestJS는 Angular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모듈/컴포넌트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역전),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와 같은 객체지향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타입스크립트를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어 타입스크립트가 가진 타입시스템의 장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ㄴ node.js 에 규율을 더해 피로를 줄이고 장점을 줄였다. 그럼에도 장점은 살렸다

     express,fastify를 지원하고

      

 대부분의 Nest의 코드는 타입스크립트로 만들어졌으며 타입스크립트를 완전하게 지원합니다. 하지만 Nest는 Express와 동급은 아닙니다. Nest는 HTTP 요청을 다루는 웹서버로 내부적으로 Expres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Nest는 Express 위에서 돌아가는 레이어에 불과합니다.

 

ㄴ타임스크립트 못하면 힘들다

 

 

NestJS는 국내에서도 점점 인기를 얻고 있고 모두싸인과 당근마켓 등 여러 회사에서 적용되어 사용자가 늘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NestJS의 핵심 기능과 원리를 쉽게 배우고 더 나은 웹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백엔드 개발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하면서 백엔드에 필요한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ㄴ 이거 알기 전에는 타입스크립트가 가장 시대적인 언어였는데 어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