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JS
Node.js와 Express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템플릿 엔진이다.
embedded javascript template의 약자로
ejs는 기존의 HTML 문법에 한해서 <% %>를 사용하여 크게 벗어나지 않아
더욱 쉽게 서버의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HTML 파일에서 스크립트 코드는 <script></script> 내부에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ejs는 지정된 태그를 사용해 스크립트 내용을 하나의 요소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가장 큰 장점은 서버에서 보낸 변수를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강점을 이용해 페이지를 동적으로 짜는 것이 기존보다 훨씬 수월해집니다. 또한, 서버에서 보낸 변수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ejs 같은 템플릿 엔진을 사용한다.
출처
[Node.js] Javascript ejs 템플릿 엔진 (velog.io)
Node.js - ejs에 대하여 (tistory.com)
여러 정보를 찾다가 나온 정보
한번에 질문하겠습니다 - 코딩애플 온라인 강좌 (codingapple.com)
ejs파일은 html 파일이랑 똑같은데 중간에 자바스크립트 변수 (DB에서 뽑은 게시물 이런거) 같은걸 쉽게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쓰는 일종의 html 대용품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유저에게 ejs파일을 보내줄 땐 ejs가 html파일로 자동으로 변환되어서 보내집니다.
막줄이 핵심같다
'내배캠 TIL WIL > 내배캠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38일차 알고 있나요? 백,프론트는 따로 동시에 돌리는 걸 (0) | 2023.01.05 |
---|---|
til 37일차 오늘의 정예반 수업 정리 (0) | 2023.01.03 |
til 35일차 쿠키 로그인 기능 (0) | 2023.01.02 |
내배캠 til 34일차 (0) | 2022.12.30 |
내배캠 til 33일차 Access Token, Refresh Token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