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란 무엇인가

 

API는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입니다.

예를 들어, 기상청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에는 일일 기상 데이터가 들어 있습니다.

휴대폰의 날씨 앱은 API를 통해 이 시스템과 ‘대화’하여 휴대폰에 매일 최신 날씨 정보를 표시합니다.

-출처 아마존 AWS

 

다른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긴빠이(쌔빈거 아님) 쳐와 표시하는 것

 

작동방식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줄임말

 

API의 맥락에서 애플리케이션이라는 단어는 고유한 기능을 가진 모든 소프트웨어를 라는 뜻

인터페이스는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계약은 요청과 응답을 사용하여 두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API 문서에는 개발자가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

-출처 아마존 AWS

 

과거 기초반 수업때는 그냥 공시된 것 들고오는 줄 알았느넫 아니다

 

 

종류 

 

Open API

 

공개 API,누구나 쓸 수 있다,반대는 프라이빗

 "하나의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가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오픈 API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우리말샘 사전 우리말샘 - 오픈 API 서비스 소개 (korean.go.kr)

 

우리말샘 - 오픈 API 서비스 소개

1. 우리말샘 오픈 API 서비스 소개 우리말샘 오픈 API는 검색 플랫폼을 외부에 공개하여 다양하고 재미있는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외부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프로

opendict.korean.go.kr

 

강의에선 빠르고 유연한 비즈니스 구축/ 비즈니스 품질 향상/생태계 확립을 장점으로 들었다

 

우리나라는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도로명 주소 조회 서비스, 동네예보정보조회서비스등 오픈API 2,506건을 2018년 현재 운영 및 제공하고 있다. 와 좋아라

 

오픈스트리트맵은 무료지만 구글은 맵 서비스를 전면 유료화 방침이라는데 api가 무료면 아무나 가져갈 테니

사용량 생각하면 그게 맞는거 같기도 함

 

REST API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

 

REST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GET, PUT, DELETE 등의 함수 집합을 정의합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HTT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합- amazon aws

 

강의에선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을 뜻합니다."

 

따로보면 이해가 안됐는데 

 

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등모든 자원을 건들고

그 자원을 표현하는 이름(테이블에 묶거나 해서 분류하면 이름을 태그해야하니)

요청되는 시점에 데이터를 전달 ( JSON 혹은 XML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 )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라고 설명했다 라고 강의에서 설명

 

아마존에선 

REST API의 주된 특징은 무상태입니다.

무상태는 서버가 요청 간에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서버에 대한 클라이언트 요청은 웹 사이트를 방문하기 위해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URL과 유사합니다.

서버의 응답은 웹 페이지의 일반적인 그래픽 렌더링이 없는 일반 데이터입니다.

라고

 

킹무위키에선

 

REST는 모든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므로 네트워크가 구성된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사용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99.99%의 네트워크는 우리가 소위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HTTP 기반 네트워크이므로 REST API라고 하면 HTTP에 쓰이는걸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그냥 'API'라고 부르면 이 REST API를 의미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일단 네트워크에서 받으면 레스트다 로 이해하면 뉴비는 되나?

 

남의 것 가져오는 것인 만큼 출처표기 같은것도 중요한 모양인데 기업체에선 전문적으로 그거 검수하는

사람도 있는 모양, 소송 당하기 쉽겠다

 

 

+ Recent posts